2025년부터 ‘스드메 깜깜이 계약’ 사라진다! 결혼준비 대행업 표준계약서 핵심 정리
결혼을 앞둔 예비부부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계약을 놓고 고민해봤을 것입니다.
그런데 정확한 가격도 모른 채 계약하고, 추가 옵션이 속속 등장해 결국 예상보다 많은 돈을 쓰게 되는 경우가 많았죠.
이제는 이런 불합리한 계약 관행이 개선될 전망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025년 4월, ‘결혼준비대행업 표준계약서’를 제정해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깜깜이 계약, 과도한 위약금 등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고,
웨딩 산업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된 셈입니다.
✔️ 계약 전, 서비스 내용과 가격 정보까지 투명하게 공개
기존에는 대부분 패키지 계약을 맺기 때문에 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의 개별 가격을 알기 어렵고,
계약 후에 각종 추가비용이 청구되는 구조였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표준계약서에 아래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합니다.
- 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 각각의 서비스 내용
- 기본 항목 외 추가 옵션(드레스 도우미, 헤어피스 등) 명확화
- 사진 원본/수정본 구매비, 메이크업 조기 시작비, 피팅비 등 포함 여부
뿐만 아니라, 계약서 첫 페이지에 전체 서비스 내역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표지부 서식이 삽입되어,
예비부부가 최종 결제 금액을 명확히 인지하고 계약할 수 있게 됩니다.
🔒 위약금 기준도 투명하게 바뀐다
예식까지 수개월 또는 1년 이상 남은 상태에서 계약을 체결하다 보니,
파혼이나 일정 변경 등 변수는 필연적입니다.
그런데 이전까지는 위약금 기준이 불명확하거나, 과도하게 일방적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2025년부터는 아래와 같이 위약금 기준이 구체화됩니다.
- 계약 해제·해지 시점에 따른 대금 환급 및 위약금 부과 기준 명시
- 소비자 vs 업체 귀책사유 여부에 따른 차등적 적용
- 제휴업체 선정 전 평균 위약금 안내 → 선정 후 실제 기준 재안내 및 동의
즉, 소비자는 내가 언제 계약을 해지하면 얼마를 돌려받을 수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고 결정할 수 있으며,
업체도 정당한 손해에 대해 보호받을 수 있는 구조로 개선된 것입니다.
🎯 예비부부를 위한 실질적 소비자 보호
이 표준계약서의 도입으로 가장 크게 변화되는 점은
예비부부가 실질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계약환경이 조성되었다는 점입니다.
가격표, 서비스 구성, 옵션 여부, 위약금까지 투명하게 공개되기 때문에 비교 견적이 가능하고,
내 예산에 맞는 맞춤형 계약이 가능해졌습니다.
동시에 추가 옵션 강매나 '현장 결제 유도' 등의 관행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됩니다.
📌 표준계약서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공정위는 이번 표준계약서를 공정거래위원회 누리집에 게시하고,
웨딩업계 사업자단체 및 소비자 단체에도 적극적으로 공유할 예정입니다.
예비부부는 계약 전 표준계약서를 요구하고, 내용 확인 후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 결혼 준비, 이제는 '합리적 계약'이 시작입니다
그동안 ‘스드메’는 결혼 비용의 핵심이면서도, 가장 불투명한 부분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2025년 결혼준비대행업 표준계약서 제정으로 인해, 예비부부는 더 이상 계약서 앞에서 불안해하지 않아도 됩니다.
내가 선택한 만큼만 지불하고, 내가 이해한 만큼만 계약하는 시대.
이제는 결혼 준비도 투명하고 똑똑하게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