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아이돌봄 서비스 개정 내용 및 우선 제공 대상 확대

by smartdad 2025. 4. 2.
반응형

 

2025년 아이돌봄 서비스 개정 내용 및 우선 제공 대상 확대

저출생 문제 해결과 가정의 양육 부담 완화를 위해 정부가 아이돌봄 서비스의 우선 제공 대상 기준을 확대했습니다.

기존에는 세 자녀 이상 가구 또는 36개월 이하의 영유아 2명 이상을 둔 가정만이 우선 제공 혜택을 받았으나,

이제는 12세 이하 자녀가 2명 이상인 가정도 우선 제공 대상에 포함됩니다.

1. 아이돌봄 서비스란?

아이돌봄 서비스는 맞벌이, 한부모 가정 등 돌봄 공백이 발생하는 가정을 지원하는 정부 서비스입니다.

전문 교육을 받은 아이돌보미가 직접 가정을 방문해 아이를 돌보며, 부모의 양육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아이돌봄 서비스의 주요 내용

  • 시간제 돌봄: 맞벌이 부모를 위한 일일 또는 시간제 서비스 제공
  • 종일제 돌봄: 장시간 돌봄이 필요한 가정을 위한 서비스 지원
  • 정부지원 연계: 소득 기준에 따라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음

2. 2025년부터 변경된 우선 제공 대상 기준

변경 전 변경 후 (2025년 시행)
12세 이하 자녀 3명 이상 12세 이하 자녀 2명 이상
36개월 이하 자녀 2명 이상 삭제됨

💡 변경 사항 요약:

  • 기존 세 자녀 가정만 지원받을 수 있었던 우선 제공 혜택을 두 자녀 가정까지 확대
  • 36개월 이하 영유아 2명 이상 조건 삭제
  • 아이돌봄 서비스 이용 시 우선 배정 및 정부 지원금 혜택 확대

3. 정부 지원 확대 및 이용 요금 감면

아이돌봄 서비스의 정부 지원 기준도 함께 개선되었습니다.

  • 두 자녀 이상 가구: 본인 부담금의 10% 추가 지원
  • 양육공백이 있는 가구: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지원금 지급 확대
  • 통합정보시스템 개선: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이 운영을 맡아 보다 안정적인 시스템 관리

4. 개정 시행 배경 및 기대 효과

여성가족부는 이번 개정을 통해 더 많은 가정이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기준을 완화했습니다.

기대 효과

  • 양육 부담 완화 → 맞벌이 부부 및 돌봄이 필요한 가정의 지원 확대
  • 저출생 문제 대응 → 육아 부담 경감으로 출산율 상승 효과 기대
  • 서비스 접근성 향상 → 보다 많은 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

5. 2025년 아이돌봄 서비스 이용 요금표 (예상)

소득 구간 정부 지원율 본인 부담금 (시간당)
중위소득 75% 이하 85% 약 2,000원
중위소득 120% 이하 55% 약 5,000원
중위소득 150% 이하 25% 약 8,000원
중위소득 150% 초과 0% 약 10,000원
반응형